겨울철만 되면 손과 발이 얼음장처럼 차가워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겨울뿐만 아니라 따뜻한 실내에서도 손발이 시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이러한 증상들은 대체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데 이를 수족냉증이라고 합니다. 단순히 추워서 그런 거라고 가볍게 여기고 방치하면 나중에 큰 병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관리와 예방이 중요한데요, 수족냉증이란 어떤 것인지 원인과 증상,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족냉증 정의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병입니다.
이러한 수족냉증은 여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데 출산 후나 40대 이상 중년 여성에게서 주로 발병되기 쉽습니다. 남성보다 근육량이 적고 체지방량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생리불순, 소화 장애, 안면홍조 등 갱년기 증상과도 연관되어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족냉증 원인
수족냉증의 원인은 정확히 한 가지로 나타내긴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추위와 같은 외부 자극에 교감신경 반응이 예민해져 혈관이 수축되면서 손, 발 등의 말초 부위에 혈액공급이 줄어 과도하게 냉기를 느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긴장, 출산이나 폐경과 같은 호르몬의 변화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질환에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레이노병, 류마티스성 질환, 추간판 탈출증, 손목터널 증후군, 혈관 질환, 갑상샘 기능 저하증 등이 그 원인 질환일 수 있습니다.
손발이 차가운 것뿐 아니라 감각이 저하되고 피부색깔이 하얗게 변하는 경우 레이노 증후군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증 등 여러 가지 증상이 동반된다면 병원에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수족냉증 증상
추운 곳 뿐만 아니라 따뜻한 곳에서도 손발이 시리듯 찬 것이 가장 대표적인 증상이지만 무릎이 시리거나 아랫배, 허리 등의 다양한 부위에서 냉기를 함께 느끼기도 합니다. 한여름에도 양말을 신고 자야 할 정도로 심한 경우도 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특히 출산을 끝낸 여성이나 40대 이상의 중년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병되는데 호르몬의 변화가 크다는 것이 주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수족냉증의 완화와 치료
평소 손발이 차게 느껴지는 수족냉증이 있는 경우라면 몸을 따뜻하게 하는 습관으로 완화를 시켜주고, 다른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라면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추위를 피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가장 좋은 방법이며 가장 중요한 치료는 일상속에서 생활 습관 교정하는 것입니다.
첫째,
족욕 또는 반신욕이나 족욕을 꾸준히 해줍니다.
따뜻한 물에 몸이나 발을 담그면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순환이 촉진됩니다.
이때 물의 온도는 38~40°C가 적당합니다.
세수나 설거지를 할 때에도 찬물 사용은 피하고 따뜻한 물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근육은 우리 몸속 체열의 반 이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따로 길게 운동할 시간이 없다면 짧은 시간 동안이라도 스트레칭을 해주고 틈틈이 기지개를 켜거나 가벼운 운동을 해주면 좋습니다.
셋째,
체온 유지에 신경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외출 시 두꺼운 양말과 장갑을 착용하고 옷을 여러 겹으로 입어 보온해 줍니다.
거리에서 걸을 때에도 햇빛이 비치는 쪽으로 걷는 것이 좋고 집안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넷째,
균형 잡힌 식단 관리 및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흡연과 음주는 삼가합니다.
생강차, 인삼차, 계피차 등 한방차를 마시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면역력 강화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수족냉증의 원인, 증상, 완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손발이 찬 분들이라면 일상에서 몸을 따뜻하게 해 주고 스트레스 완화에 신경 쓰면서 겨울철 건강 관리 잘해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형 독감의 증상과 치료 (0) | 2023.01.21 |
---|---|
괴로운 변비! 원인, 증상, 예방과 해결 (0) | 2023.01.20 |
대상포진의 증상 및 치료와 예방법 (0) | 2023.01.14 |
정상 혈압 수치와 혈압 관리 (0) | 2023.01.07 |
코로나 19 증상, 지속 기간 및 자가 격리 (1)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