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나 경제 뉴스에서 선물, 옵션만기,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등의 용어를 종종 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선물거래와 옵션, 스왑이란 무엇인지 그 뜻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물거래
선물(futures) 거래는 미래 일정 시점에 특정 대상물을 미리 정해진 가격(선물가격)으로 매매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속하는 거래를 뜻하는 것으로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입니다. 이러한 거래는 현물 시장에서 운용되는 자산을 바탕으로 한 파생 상품으로, 기초 자산(채권, 외환, 주식 등)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가 결정됩니다.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거래를 약속했기 때문에 가격 변동 위험의 회피가 가능합니다.
선물 거래는 미래의 가치를 사고파는 것이므로 이를 통해 판매자는 미래에 예상되는 가격 하락으로부터 위험을 회피할 수 있고, 구매자는 예상되는 가격 상승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은 미래에 필요한 원자재를 선물 거래를 통해 미리 구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부터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물 거래는 위험 회피를 목적으로 출발했지만, 고도의 첨단 금융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면서 고수익 · 고위험 투자 상품으로 진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투자자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높은 위험도를 감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선물 거래는 투자자의 투자 목적과 위험 선호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
선물거래를 하려면 일반 주식계좌로는 거래가 불가능하여 증권사를 방문하여 선물옵션계좌를 별도로 만들어야 하고 일정 금액 이상의 예탁금이 필요하며 금융투자협회 교육 이수 등의 자격이 요구됩니다.
옵션 Option
옵션이란 특정 기초자산을 특정 가격으로 미리 계약한 시점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옵션은 '권리'이기 때문에 반드시 계약조건을 이행해야 하는 선물과 다르게 옵션 매입자는 사거나 팔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살 수 있는 권리는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이라고 하며 계약 시 정해진 기간을 만기라고 합니다. 옵션만기가 도래했다는 표현은 비교적 자주 듣게 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옵션은 권리이므로 옵션만기 시 사거나(콜옵션) 팔 권리(풋옵션)를 행사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금 2,000원인 주식을 1년 후에 특정 물량만큼 구매할 수 있는 콜옵션을 산 투자자라면 1년 후 해당 주식이 3,000원 또는 10,000원으로 오르더라도 콜옵션 계약 금액인 2,000원으로 원하는 물량을 구매할 수 있게 되고 엄청난 수익을 얻게 될 것입니다.
옵션은 원래 가격의 변동에 따른 위험회피, 즉 헤지의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적은 투자금액으로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보니 선물 등의 다른 파생상품과 마찬가지로 원래의 목적보다는 고수익, 고위험 투자상품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스왑 Swap
스왑 거래란 계약 조건 등에 따라 일정 시점에 자금 흐름을 교환하여 이루어지는 금융 기법을 뜻합니다. 이러한 거래를 통해 두 당사자는 사전에 정해진 가격과 기간에 따라 자금을 보다 유리하게 조달할 수 있으며,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서로 부채를 교환합니다. 스왑 거래의 종류에는 금리 스왑, 통화 스왑(스와프) 등이 있습니다.
스왑 거래는 금융 시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일정 시점에 자금 흐름을 교환함으로써 당사자들이 더욱 유리한 자금 조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국가, 금융 기관은 더 많은 자금을 조달하고, 그 자금을 더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통화스왑
통화스와프 또는 통화스왑이란 거래 당사자 간에 일정 기간 동안 정해진 환율로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계약을 뜻하는 것으로 만기 시 다시 원금으로 교환하게 됩니다.
즉, 통화스왑 거래는 계약기간 동안 둘 이상의 국가나 거래기관이 특정한 통화를 다른 통화로 교환하여 사용한 후, 만기일에 원래의 통화로 재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원화유동성은 충분하지만 외화유동성이 부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외화유동성은 충분한데 원화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두 당사자 간의 거래는 상호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으므로 계약이 성사될 수 있습니다.
금리스왑
금리스왑이란 채권, 채무의 금리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줄이기 위해 국가 또는 금융 기관끼리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일정기간 동안 서로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거래를 뜻합니다.
이때 원금은 바꾸지 않고 서로 이자지급의무만을 바꾸는 것으로, 금리상승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해 향후 금리변화 방향과 폭에 대한 전망이 다른 거래당사자간에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이상으로 경제용어 가운데 선물거래, 옵션, 금리스왑, 통화스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종종 접하게 되는 이러한 용어들의 뜻을 이해하여 현명한 경제생활 하시기를 바랍니다.
다른 글 보러 가기 ↓↓↓
'시사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MF 국제통화기금의 기능 중요성 과제 (0) | 2023.05.29 |
|---|---|
| 사모펀드, 통정거래, 반대매매 뜻 알아보기 (0) | 2023.05.13 |
| Trickle-Down Effect 낙수효과란? (1) | 2023.04.28 |
| NFT란? NFT 뜻과 디지털 창작물의 미래 (0) | 2023.04.27 |
| 엥겔지수란? 엥겔지수 계산법과 활용 (0) | 2023.04.24 |
